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Q1. 김 기자, 오늘 국군의날 행사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등장한 무기가 현무-5였습니다. 얼마나 위력적인 무기인 겁니까? <br><br>A. 현무-5는 탄두 중량만 8~9t을 자랑하는 초고위력 탄도미사일입니다. <br> <br>세계 최고 수준의 무게인 만큼,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하 벙커마저 무력화할 수 있는 괴물 미사일입니다.<br> <br>쉽게 기존 현무와 비교해 보겠습니다. <br> <br>파괴력을 좌우하는 탄두 무게의 경우, 현무-2는 1t 정도고, 지난해 공개된 현무-4는 최대 2.5t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현무-5는 8t이 넘습니다.<br> <br>이렇게 무거운 탄두가 대륙 간 탄도미사일처럼 1000㎞까지 상승한 다음, 마하10, 시속 약 1만2000㎞의 초고속으로 낙하해 지하 100m 이하의 벙커까지 파괴할 수 있는 겁니다. <br> <br>이렇게 무거운 만큼 이동식 차량도 확연히 다릅니다.<br> <br>5개 축, 10개 바퀴를 장착한 차량으로 운반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9개 축, 18개 바퀴로 구성된 초대형 차량이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일반 트럭처럼 좌회전 우회전도 어려워서 바퀴 전체를 동시에 움직여 마치 '게'가 걷는 것처럼 옆으로 움직입니다. <br> <br>이렇듯 외관부터 위력까지 기존 미사일과 전혀 다른 독보적인 무기라 할 수 있겠습니다.<br> <br>Q2. 위력적인 무기라면 공격 방식도 조금 다를 것 같은데요? <br><br>A. 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앞서 설명드렸던 것처럼 초고중량 탄두가 1000㎞에서 떨어지는 만큼 지표면을 그대로 관통해 지하로 파고듭니다. <br> <br>땅속에서 폭발을 일으키며 인공 지진 효과까지 발생시키는데요, <br> <br>이를 통해서 천장과 같은 벙커 구조물을 붕괴시켜 지하 시설을 무력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<br> <br>헤즈볼라 수장 나스랄라 암살을 위해 이스라엘이 사용한 폭탄의 20배에 이르는 폭발력을 지녔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Q3. 지난 달엔 북한도 초고중량 탄두를 장착한 최신형 미사일을 자랑했던 것 같은데요, 북한과 비교하면 어떻습니까? <br><br>A. 북한도 2주 전 화성포-11다-4.5형이라는 최신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습니다.<br> <br>이름이 말해주듯 탄두 중량은 4.5t입니다.<br> <br>현무-5의 절반가량이죠. <br> <br>그런데도 사거리는 320㎞ 정도로, 현무-5와 비슷합니다.<br> <br>가벼운 탄두를 싣고도 같은 거리를 날아간단 건데요.<br> <br>우리 군은 이마저도 기만일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Q4. 미국 전략 폭격기도 국군의 날 행사에 처음 등장했죠? <br><br>A. 네, '죽음의 백조'로 불리는 B-1B 랜서가 전개됐는데요,<br> <br>B-1B는 마하 1.25, 시속 약 1500㎞의 최대 속도를 자랑하고, 무장 장착량은 최대 57t에 이릅니다. <br> <br>미국의 3대 전폭기 중 유일하게 스텔스 기능을 장착한 만큼 김정은 위원장이 가장 두려워한다는 평가도 받습니다.<br> <br>Q5. 시가행진도 2년 연속 진행됐잖아요. 지난해와 다른 것이 있었나요? <br> <br>A. 네, 우리 군이 6.25 전쟁 당시 서울을 수복한 다음 태극기를 게양했던 것을 처음 재현했습니다. <br> <br>경복궁 월대 앞에 대형 태극기를 풍선에 매달아 띄웠는데요, <br> <br>윤석열 대통령도 이 모습을 직접 지켜봤습니다.<br> <br>[76주년 국군의날 시가행진] <br>"(자유 대한민국 화이팅!) 화이팅!" <br><br>시가행진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진행됐는데요.<br><br>이런 것도 40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내년에도 시가행진을 이어가겠단 방침입니다.<br> 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 <br><br>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